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남 물난리 키운 빗물터널 백지화
    카테고리 없음 2022. 8. 10. 11:30
    반응형

    지난 8일부터 대도시권 등 중부 지역에 퍼부어진 폭우(暴雨)는 9일 오후 7시 기준으로 사망 9명, 실종 6명, 부상 9명의 피해를 냈습니다. 전국에서 주택이나 상가 741동이 물에 잠겼고, 산사태가 11건 발생했습니다.

     

    특히 8일 밤부터 이틀간 서울시를 강타한 폭우는 기상청 관측 사상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피해는 자치구별로 달랐습니다. 한 달 내릴 비(강수량 300㎜)가 하루 만에 퍼부어진 강남구(326.5㎜)와 서초구(354.5㎜)는 이번에도 물바다가 되었습니다. 한편, 양천구는 같은 시간에 200㎜ 가까이 비가 내렸지만 손해는 강남·서초구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11년 전인 2011년 7월 이틀사이 400여㎜의 폭우가 쏟아졌을 때 우면산 산사태 등 강남·서초구에선 큰 손해가 발생했습니다. 그때즈음 양천구는 신월동을 중심으로 주택 1182가구가 침수되는 등의 손해를 입었습니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강남역 침수 피해의 이유

    당시와 유사한 폭우가 내린 현재, 양천구와 강남·서초구의 손해 규모를 가른 것은 ‘빗물 터널’이었다고 전문가들은 파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2011년 폭우 피해 이후 서울특별시는 양천구와 강남역 등 7곳의 지하에 ‘대심도 빗물 터널’을 만들기로 했지만 나중에 양천구만 진행하는 걸로 결론지었다”며 “그것이 두 곳의 ‘운명’을 갈랐다”고 했습니다.

     

    지난 2011년 7월 오세훈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광화문과 양천구 신월동, 강남역 등 상습 침수 지역 7곳에 17조원을 들여 ‘대심도 빗물 터널’을 짓겠다는 계획을 공표했습니다. 지하 40에서50m 깊이에 지름 10m 수준의 대규모 배수관을 만들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대규모 배수관은 우수을 저장했다가 내보낼 수 있는 저류 기능도 겸합니다. 한 토목 전문가는 “기존 배수로가 일반 도로라면 ‘대심도 빗물 터널’은 고속도로 같습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 계획은 오 시장이 물러서고 2011년 10월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며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박 전 시장은 7개 상습 침수 지역 가운데 양천구 신월동에만 ‘대심도 터널’을 만들겠다고 했습니다. 당시 정치권 등에서는 “오 시장이 벌이려는 과도한 토목공사를 멈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박 전 시장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서울특별시 배수설비 관계 일지

    이런 과정을 거쳐 2020년 5월 양천구에는 시간당 95에서100㎜의 폭우를 처리할 수 있는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이 완공되었습니다. 지하 40m에 지름 10m, 길이 3.6㎞로 설치된 이 설비의 배수 터널은 32만t의 물을 저장하는 저류(貯留) 기능을 갖는다. 이후 양천구에는 중대한 침수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가령, 2020년 8월 서울시에 폭우가 퍼부어졌을 때 서초강남역과 다르게 양천구는 큰 손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강남역 침수가 재발하는 이유으로 세 가지를 꼽았습니다.

     

    먼저 서초강남역 일대는 폭우에 상당히 취약한 지형이라고 했습니다. 인근에 있는 역삼역과 비교하면 17.8m, 서초역과 비교하면 12.3m가 낮아 빗물이 고일 수밖에 없는 ‘항아리 지형’이라는 것입니다.

     

    저류 용량이 떨어지는 것도 취약점으로 꼽혔습니다. 서울특별시에 따르면, 지금 서초강남역 지하에 깔린 배수로는 시간당 80에서85㎜까지 폭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배수 설비의 저류 용량이 1.5만t밖에 안 된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습니다. 양천구 배수 설비의 저류 용량 32만t에 비한다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서초강남 일대 배수관과 연결된 반포천의 수위가 높으면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도 생긴다고 합니다.

     

    서울특별시는 ‘강남역 대심도 배수 터널’을 단념한 후 지난 10년간 총 3조6792억원을 서초강남역 일대의 배수 시설 개선에 투입했습니다. 서울특별시가 지난 2015년 발표한 1조4000억원짜리 ‘강남역 일대 및 침수 취약 지역 종합 배수 개선 대책’도 그 중 부분였습니다. 잘못 설치된 하수관로를 바로잡는 ‘배수 구역 경계 조정’과, 서울시남부터미날 일대 빗물을 반포천 중류로 분산하는 지하 배수설비 ‘반포천 유역분리터널’ 공사 등이 주요 내용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설비을 개선하긴 했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고 했습니다. 이 공사는 예산과 설계 문제 등으로 지속 지연되었습니다.

     

    ‘반포천 유역분리터널’은 반포천 상급지의 하수 처리 용량을 분산하기 위한 터널로, 예술의전당 일대 빗물을 반포천 중류로 향하도록 해 분산하는 구실을 합니다. 빗물을 여러 방면으로 분산해 침수 피해를 줄이는 장치다. 그러나 이 터널은 대비책 발표 이후 3년이 지난 2018년에야 착공했고 현재 큰 터널만 완공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담당자는 “터널 자체는 완공했으나 주위 하수관이 여전히 공사 중이어서 빗물이 빠져나올 길을 다 만들지는 못했다”고 했습니다.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의 빗물터널 지름이 10m인 데 비교하여, 반포천 유역분리터널은 지름 7.1m 수준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부 박사는 “반포천 말고 바로 한강으로 빼거나 송파구의 탄천으로 이어지는 배수로를 만드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에 대비해 시간당 처리 가능한 강우량 목표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박사는 “시간당 95㎜는 예전 평년 수준을 감안해 설정됐을 것”이라며 “이번처럼 이전의 국지성 호우를 넘어서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면 설계 단계부터 목표를 상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서울특별시의 수방·치수 분야 예산은 근래 감소 추세다. 2012년 4317억원에서 2019년 6168억원까지 늘었다가 2020년부터 감소해 금년에는 5000억원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서울특별시는 “이번 수해에 대하여 재난관리기금과 예비비 등을 적극 투입할 계획”이라고 했습니다.

     

    '야근 시켜주세요 제발' 저녁이 없는 삶 찾는 사람들

     

    '야근 시켜주세요 제발' 저녁이 없는 삶 찾는 사람들

    주 52시간 근무제가 50인 미만 중소기업에 확대 실시된 지 1년여가 지났지만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임금이 감소하고 여가시간이 줄어드는 등 생활의 질이 되레 악화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

    issue.libery.kr

    "한 달 순이익만 1억 넘어", 20억에 '신사임당' 인수한 투자자

     

     

    "한 달 순이익만 1억 넘어", 20억에 '신사임당' 인수한 투자자

    전업투자자 디피가 월 수익과 전망 등 신사임당 채널 인수와 관계된 뒷이야기를 공개했습니다.디피는 지난 1일 유튜브 채널 '김작가TV'와 신사임당 채널 인수 관계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디피

    issue.libery.kr


    4640만원의 니로 전기차 1640만원에 산다, 이게 가능할까

     

    4640만원의 니로 전기차 1640만원에 산다, 이게 가능할까

    현대자동차와 기아 전기차를 다음 해부터 실제로 '반값'에 구매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전기차 가격의 약 40퍼센트를 차지하는 배터리를 매월 구독하는 방법이 도입되면서 초창기 구매 부담이

    issue.libery.kr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